본문 바로가기
경제

조합원 분담금과 추가분담금에 대한 이해

by 하니맘중개사 2024. 4. 8.

조합원 분담금과 추가분담금은 재개발·재건축 등으로 조합원이 분양을 받기 위해 부담해야 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분담금은 조합이나 협동조합과 같은 단체에서 중요한 재정적 요소입니다. 분담금액은 감정평가등 단계를 거쳐 산정이 됩니다. 분담금과 추가분담금의 의미와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합원 분담금

조합이 추진하는 사업이나 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조합원들이 나누어 부담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조합의 운영과 사업 진행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분담금은 조합원 분양가에서 권리가액을 뺀 금액으로 합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재건축하는 아파트인 경우 조합원 분양가에서 기존 내 집에 대한 감정평가금액을 뺀 금액을 재건축 분담금으로 합니다. 감정평가금액은 상대평가입니다. 평가할 당시의 부동산분위기나 상황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습니다. 감정평가에 따라 조합원 분양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권리가액 = 감정평가액 x 비례율

*비례율 = (종후 자산평가액-총사업비) ÷ 종전 자산평가액

*분담금= 조합원 분양가 - (감정평가액 x 비례율)

비례율은 사업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등 사업성이 나빠지면 비례율도 낮아집니다.

추가분담금

기존에 분담하기로 한 금액 외에 예상치 못한 비용 증가나 사업 확장 등의 이유로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금액을 말합니다. 추가분담금 발생원인으로는 금리상승으로 인한 이자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 갈등으로 인한 사업지연, 분양 미달등 이 있습니다. 특히, 요즘 기사에서도 이슈가 많이 되는 공사비 증가가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에 따른 재건축 사업의 지연, 중단 사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기사내용

반대로 금리하락, 높은 금액의 일반분양 완판 등으로 사업 수익이 증가하여 분담금이 줄어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분담금 납부시기

조합원 분담금 납부 시기는 계약에 따라 다릅니다. 통상 우리가 흔히 보는 형태는 계약금 10%, 중도금 60%(10%씩 6회로 나누어서 납부), 입주 잔금 30%입니다.


조합원 분담금과 추가분담금은 조합의 건전한 운영과 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조합원들의 합리적인 논의를 통해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